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전기재해예방
- 산업안전교육
- KPI
- MZ노조
- 실업급여
- 권고사직
- 임금체불
- 식품위생교육
- 회계의 기초
- 온라인 위생교육
- 보호구의 정의
- 육아휴직
- 연차휴가
- 산업안전보건교육
- 직장내 괴롭힘
- 일반음식점 위생교육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위생교육자료
- 요식업 위생교육
- 위험성평가
- 사업자 위생교육
- 실업급여 조건
- 노란봉투법
- 성과평가
- 고용노동부
- 전기재해
- 근골격계질환
- 연차촉진
- 화재기초상식
- 통상임금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60)
최팀장의 실무노트
실무 리더십: 직장에서 중요한 이유 리더십은 기업의 성공과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조직의 중요한 측면이다. 직장에서 직원들에게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리더십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리더십 스타일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실제 경험과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직장에서 실질적인 리더십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명확한 기대치 설정 및 방향 제시 효과적인 리더는 명확한 기대를 설정하고 직원들에게 방향을 제시합니다. 이것은 모든 사람들이 같은 목표를 향해 일한다는 것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목적의식과 동기부여를 만들어내는 데 도움이 된다. 실무적인 리더들은 또한 회사의 일상적인 운영에 대해 잘 이해하기 때문에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고 팀에 ..
결론부터 말하면 연봉제는 근로자의 임금을 1년 단위로 결정하는 임금지급방식이다. IMF이전에는 1개월 단위를 기초로 하는 월급제가 대부분이었으나 기업들이 IMF를 겪으면서 직원의 능력과 업적을 임금과 연결시키는 개별관리의 필요성과 신규인사기용시 유능력자를 확보하기 위하여 연봉제를 도입하게 된다. 연봉제의 의미를 살펴보면 ① 사용자가 주도하는 평가방법으로 근로자 개인의 업무능력이나 기업목표의 달성도를 평가하고, ②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임금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연 단위로 결정하는 성과중시형·능력중시형의 임금결정제도를 말합니다. 연봉제의 취지는 ① 업적주의 및 능력주의 강화 ② 임금의 유연성 확보 ③ 고령화 및 승진적체 등 연공임금문제 해소 ④ 임금체계 및 임금관리의 간소화 등을 목적으로 함. 즉, 연단위..
포괄임금 단속 나선 고용부, 노동개혁 동력 찾을수 있을까 - 문화일보(2023.04.10) - https://v.daum.net/v/20230410052410865 대표이사의 보수는 근로자의 임금과 다르다? [전용원 변호사의 친절한 기업법무] - 한국경제(2023.04.10) - https://v.daum.net/v/20230410080101583 직장인 워커홀릭 55% "이직 준비 중" - 한국경제TV(2023.04.10) - https://v.daum.net/v/20230410093024928 월급, MZ세대가 취업하고 싶은 기업 조건 2위…1위는? - SBS BIZ(2023.04.10) - https://v.daum.net/v/20230410085701808 ‘상여금만 20억’…연봉 ..

4. 근골격계질환 예방대책 가.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전사적 노력 ⑴ 사업주의 역할 근로자가 근골격계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작업이나 작업환경에서 근원적으로 근골격계질환 발병 위험요인을 제거하거나 감소 시킨다. 근로자에게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해 필요한 충분한 지식을 갖고 훈련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⑵ 근로자의 역할 건강에 유해하거나 불필요하게 피로를 유발하는 신체 부담을 피하기 위해 사업주가 지시하는 사항을 잘 따라야 한다. 업무를 통해 신체적 부담을 느낄 때에는 즉시 사업주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그러나 건강에 위험한 부담을 항상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사업주 또는 관리감독자는 의무실 이용자료, 병가 또는 상해보고자료, 이직 자료 등을 통해 근골격계 부담의 조기 경고신호를 찾아내어야 한다..

1. 근골격계질환 이해 가.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 정의 근골격계질환이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자세, 무리한 힘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강장해로서 목, 어깨, 허리, 팔․다리의 신경․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기준에 관한 규칙 제656조) 나. 최근 5년간 근골격계질환 발생 현황 ■ 최근 5년간 발생한 업무상 질병자 발생통계를 분석한 결과, 근골격계질환자가 2019년도 부터 9천명으로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근골격계질환 중에서는 중량물 들기 등 허리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생기는 사고성요통 과 신체부담으로 인한 질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안전보건공단> 자료마당> 통합자료실> 국..
직장내 괴롭힘 신고 예시 입니다. 직장내 괴롭힘 발생 시간과 내용, 장소, 가해자의 가해 행위, 피해자의 피해 내용과 구체적인 조치 요구 사항등을 기재하시고, 제일 중요한 부분은 가능하면 가해자의 가해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가해 발언 내용 녹취나 동료 근로자의 진술등 증거자료를 확보하여 첨부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통상임금은 각종 법정수당(시간외 근로수당, 휴일 근로수당, 월차근로수당 , 해고수당, 생리수당 등)을 계산하는 기준입니다. 통상임금은 연차수당, 퇴직금을 계산하는데 있어 평균임금과 비교하여 사용되기도 합니다. 1일분 평균임금보다 통상임금이 많은 경우에는 평균임금이 아닌 통상임금으로 퇴직금을 계산합니다.(법정 의무사항) 연차수당은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으로 보상할 수 있습니다.(노사자율 선택) 간혹 일부 회사에서는 이러한 각종 법정수당을 기본급만을 기준으로하여 지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이며 이를 잘 알아두어 불이익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각종 법정수당의 기준액을 무엇으로 하느냐에 따라 월급액의 차이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노사간에 초미의 관심사이기도 합니다. 통상임금의 사용 통상임금의 구성 통상임금..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7조, 제19조, 제29조부터 제33조까지, 제77조제2항, 제98조, 제166조의2, 같은 법 시행령 제17조, 제24조, 제40조, 제68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26조부터 제36조까지, 제95조, 제131조에 따른 안전보건교육 등의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①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사업주등”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가. 사업주 나. 「산업안전보건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166조의2에 따른 현장실습산업체의 장(이하 “현장실습산업체의 장”이라 한다) 다.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4호에 따른 사용사업주(이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