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성과평가
- 임금체불
- 고용노동부
- 요식업 위생교육
- 실업급여
- 위생교육자료
- 산업안전교육
- MZ노조
- 보호구의 정의
- 온라인 위생교육
- 실업급여 조건
- 회계의 기초
- 육아휴직
- 전기재해
- 위험성평가
- KPI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전기재해예방
- 근골격계질환
- 통상임금
- 산업안전보건교육
- 권고사직
- 직장내 괴롭힘
- 식품위생교육
- 화재기초상식
- 사업자 위생교육
- 연차휴가
- 일반음식점 위생교육
- 노란봉투법
- 연차촉진
- Today
- Total
목록근골격계질환 (5)
최팀장의 실무노트

4. 근골격계질환 예방대책 가.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전사적 노력 ⑴ 사업주의 역할 근로자가 근골격계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작업이나 작업환경에서 근원적으로 근골격계질환 발병 위험요인을 제거하거나 감소 시킨다. 근로자에게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해 필요한 충분한 지식을 갖고 훈련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⑵ 근로자의 역할 건강에 유해하거나 불필요하게 피로를 유발하는 신체 부담을 피하기 위해 사업주가 지시하는 사항을 잘 따라야 한다. 업무를 통해 신체적 부담을 느낄 때에는 즉시 사업주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그러나 건강에 위험한 부담을 항상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사업주 또는 관리감독자는 의무실 이용자료, 병가 또는 상해보고자료, 이직 자료 등을 통해 근골격계 부담의 조기 경고신호를 찾아내어야 한다..

④ 각도 - 작업시 팔꿈치의 각도는 90도, 손목이 이루는 각도는 180도(일직선)가 되도록 한다. ․ 작업대의 높이나 작업 대상물의 높이를 조정하면 원하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 좋은 자세가 되도록 사용하는 공구의 형태를 바꾸거나 작업지점을 변화시킨다. ․ 작업관련 설비의 형태를 변경하거나 각도를 변경한다. ㈒ 피로를 덜 받도록 하거나 휴식을 잘 취한다. - 작업전․후 작업 도중에 스트레칭을 실시하여 근육의 긴장을 풀어준다. - 휴식공간을 마련하고 피로를 풀 수 있는 설비를 갖춘다. - 서서 일하는 작업지점에 피로예방매트를 깔아준다. - 물리치료실을 설치하거나 물리치료시설을 활용하는 등 이상 현상을 조기에 해소한다. - 적당한 작업속도를 유지하고 부하가 많이 걸리는 작업은 시간외 근무를 억제한다...

1. 근골격계질환 이해 가.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 정의 근골격계질환이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자세, 무리한 힘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 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강장해로서 목, 어깨, 허리, 팔․다리의 신 경․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기준에 관한 규칙 제656조) 나. 최근 5년간 근골격계질환 발생 현황 ■ 최근 5년간 발생한 업무상 질병자 발생통계를 분석한 결과, 근골격계질환자가 매년 5천명 에서 2019년도에는 9천몀으로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근골격계질환 중에서는 중량물 들기 등 허리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생기는 요통질환자 의 발생이 많았으나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며, 신체부담으로 인한 질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

⑵ 도․소매업 종사자 건강장해 예방 불편한 자세, 과도한 힘, 반복성, 정적자세, 접촉스트레스 등에 의한 근골격계질환 계산원(캐셔) 작업자가 타작업 종사자에 비해 근골격계 통증 호소 율이 4배정도 높음 어깨부위 위주의 스트레칭 및 근력강화운동 병행 필요 ⑶ 의료업 종사자 건강장해 예방 주요 근골격계부담작업은 환자이송, 수술기구소독, 휠체어 태우기 등 환자간호, 물리치료, 병원내 식당, 의무기록 작업으로 파악됨 보건 및 사회복지업종 주요부서별 근골격계질환 발생 분석결과 간호부가 가장 많이 파악 되었으며 원무(전산, 접수 포함)・전산・약국 부서, 진료부, 식당 순으로 나타남 (간호부에 대하여 증상호소자 관리 등 의학적 조치가 시급한 것으로 파악) 근골격계질환자에 대한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어깨부위가 가장 많았..

1. 근골격계질환 이해 가.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 정의 근골격계질환이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자세, 무리한 힘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 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강장해로서 목, 어깨, 허리, 팔․다리의 신 경․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기준에 관한 규칙 제656조) 나. 최근 5년간 근골격계질환 발생 현황 ■ 최근 5년간 발생한 업무상 질병자 발생통계를 분석한 결과, 근골격계질환자가 매년 5천명 이상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근골격계질환 중에서는 중량물 들기 등 허리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생기는 요통질환자 의 발생이 많았으나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며, 신체부담으로 인한 질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근골격계질환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