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온라인 위생교육
- 전기재해예방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산업안전교육
- 노란봉투법
- 일반음식점 위생교육
- 요식업 위생교육
- 식품위생교육
- 위험성평가
- 성과평가
- 연차촉진
- 연차휴가
- 직장내 괴롭힘
- 고용노동부
- 권고사직
- 근골격계질환
- 위생교육자료
- 실업급여 조건
- 육아휴직
- 통상임금
- 회계의 기초
- KPI
- 산업안전보건교육
- 보호구의 정의
- 사업자 위생교육
- 전기재해
- 임금체불
- 화재기초상식
- 실업급여
- MZ노조
- Today
- Total
목록권고사직 (4)
최팀장의 실무노트
'엔지니어 사장단' 후 20년…이재용, 연공서열 타파·女임원 확대 - 아시아경제(2023.06.12) - https://v.daum.net/v/20230612081658972 월급 590만원 넘는 직장인, 국민연금 1만6650원 더 낸다 - 파이낸셜뉴스(2023.06.12) - https://v.daum.net/v/20230612082516166 한노총 빠진 경사노위, 청년·비정규직 포함 재편하나 - 중앙일보(2023.06.12) - https://v.daum.net/v/20230612000258958 청년 목돈 만들어준다더니…이대로라면 그림의 떡? - SBS BIZ(2023.06.12) - https://v.daum.net/v/20230612083901545 출신국 메뉴에 지원금까지…韓조..
휴 업 회사에서 확진환자가 발생하여 불가피하게 휴업을 실시한 경우,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하는지? 근로자 중 확진환자, 유증상자 또는 접촉자가 발생하여 추가 감염 방지를 위한 소독·방역 등을 위하여 사업장 전체 또는 일부를 휴업한 경우에는 회사의 귀책사유로 보기 어려우므로 원칙적으로 휴업수당 지급의무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아래의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일반 회사) 근로자 중 확진환자, 의심환자 또는 접촉자(밀접·일상접촉자)가 있어 추가 감염 방지를 위한 소독·방역등을 위하여 사업장 전체 또는 일부를 휴업한 경우 또는 감염병예방법령에 의하여 근로자가 자가격리 등 조치된 경우 (병원) 확진환자 발생 및 의료진 감염에 따라 병원이 휴업(휴진)하거나 보건당국에 의해 휴원 조치되는 경우 다만, 근로자 생계보호를 위..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어려움이 지속되면서 일반 기업의 휴업과 폐업이 속출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사업주도 그렇지만 그 상황에서 일반 직장인은 하루아침에 직장을 잃는 경우도 많은것 같네요 하루빨리 코로나19를 극복해서 전염병 이전과 같은 일상이 돌아오길 간절히 바래봅니다. 일반 기업에서 매출이 감소하기 시작하고 회사 사정이 어려워지면 사업주 입장에서 먼저 생각나는게 인건비를 줄이는 방법을 제일 먼저 떠올리는것 같아 안타깝네요 결국엔 회사의 이익을 창출하는 것은 사람인데 일시간 어려움에 빠졌다고 사람부터 줄이는 방법은 누구나 떠올릴 수 있는 방법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론 이런 방법보다는 다른 해결책을 찾아보는게 결국에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오늘은 회사에서 인원정리할 경우 권고사직과 해고의 방법을 많이..

휴 업 회사에서 확진환자가 발생하여 불가피하게 휴업을 실시한 경우,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하는지? 근로자 중 확진환자, 유증상자 또는 접촉자가 발생하여 추가 감염 방지를 위한 소독·방역 등을 위하여 사업장 전체 또는 일부를 휴업한 경우에는 회사의 귀책사유로 보기 어려우므로 원칙적으로 휴업수당 지급의무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아래의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일반 회사) 근로자 중 확진환자, 의심환자 또는 접촉자(밀접·일상접촉자)가 있어 추가 감염 방지를 위한 소독·방역등을 위하여 사업장 전체 또는 일부를 휴업한 경우 또는 감염병예방법령에 의하여 근로자가 자가격리 등 조치된 경우 (병원) 확진환자 발생 및 의료진 감염에 따라 병원이 휴업(휴진)하거나 보건당국에 의해 휴원 조치되는 경우 다만, 근로자 생계보호를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