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성과평가
- 통상임금
- 식품위생교육
- 연차휴가
- 위험성평가
- 육아휴직
- 요식업 위생교육
- 고용노동부
- 실업급여
- 산업안전보건교육
- 화재기초상식
- 온라인 위생교육
- 근골격계질환
- KPI
- MZ노조
- 연차촉진
- 전기재해
- 전기재해예방
- 위생교육자료
- 직장내 괴롭힘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임금체불
- 회계의 기초
- 일반음식점 위생교육
- 노란봉투법
- 보호구의 정의
- 실업급여 조건
- 사업자 위생교육
- 산업안전교육
- 권고사직
- Today
- Total
목록산업안전보건 (38)
최팀장의 실무노트
7. 전기화재 요인 및 대책 전기는 기본적으로 전선이 회로를 구성하여 흐르게 되는데, 전선에 너무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거나, 전류가 전선 밖으로 흐르게 되면 화재 또는 감전 등의 사고를 발생 시킨다. 전류가 전선 밖으로 흐른다 함은 누전 즉 아크, 스파크를 말하는 것인데 이러한 전기에 의한 점화원은 다음과 같다. 가. 과부하 전류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줄열(H=I2Rt)이 발생되는데 발생된 열이 충분히 방열되면 발화의 위험 이 없으나 열이 축척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점화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전선은 그 전선의 특성 및 사용조건에 따라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가 결정되게 되는데 이를 전선의 허용 전류라 하며 이 전류를 초과하여 큰 전류가 흐르는 것을 과부하 전류라 한다. ..
제1장 전기재해 예방 1. 전기의 특성 가. 현대생활에서의 전기 전기는 현대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에너지로 전기가 없으면 하루라도 살기 어려울 정도가 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어 사용 시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⑴ 전기는 형체, 소리, 냄새가 없기 때문에 전기가 흐르고 있는 곳(충전부)을 외관상으로 전혀 확인할 수 없다. ⑵ 전기의 속도는 빛의 속도와 같이 아주 빠르므로, 사고 발생 시 에는 대피할 만한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 나. 전기의 성질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듯이 전하는 전기적인 위치에너지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 으로 이동하는데 물이 흐르는 이유가 중력 때문이라면 전류는 기전력(起電力)이라는 힘에 의해 흐른다. 전류가 흐르는 길을 전기회로라 하며 이는 물이 흐르는 수..
4. 여름철 식중독 예방 가. 식중독 이란 식품 또는 물의 섭취에 의해 발생되었거나 발생될 것으로 생각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WHO) 나. 식중독의 종류와 예방대책 ⑴ 노로바이러스 ㈎ 감염 경로 - 감염자 분변에 오염된 물·식품에 의해 발생(사람의 장관 내에서만 증식 가능) ㈏ 원인 식품 - 음식(어패류, 샐러드, 과일, 냉장식품, 샌드위치, 상추, 냉장조리햄, 빙과류) - 오염된 물, 특히 지하수에 의한 감염 가능 -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으로 2차 감염 가능 ㈐ 증상 - 잠복기(24~48시간), 지속기간(1~5일) - 메스꺼움, 설사, 구토, 복통, 두통 ㈑ 예방 대책 - 감염자의 변, 구토물 접촉 금지 : 2차 감염 차단 - 접촉한 경우 충분한 세척 및 소독실시(오염된 표면 세척·살균, 옷·이..
1. 폭염 가. 배경 지구 온난화로 인한 평균기온의 상승과 엘리뇨 현상 등으로 해가 거듭할수록 여름에 폭염으로 인한 열사병 발생 등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여름철 고열작업 및 야외 작업 근로자의 건강보호 를 위한 사업장 근로자 보호대책이 필요하다. 나. 폭염발생 현황 및 전망 ⑴ 개 요 ㈎ 폭염 특보 발표기준(기상청 매년 6월 1일 ~ 9월 30일까지 4개월간 운영) ▶ 폭염주의보 : 일 최고기온 33℃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 폭염경보 : 일 최고기온 35℃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 폭염이 안전보건에 미치는 영향 ▶ 개인에 미치는 영향 - 보통 습도에서 25℃ 이상이면 무더위를 느끼며 장시간 야외활동시 일사병ㆍ열경련 등 질병발생 가능성 증대 - 밤..
제1장 기계∙기구 설비 개요 1. 기계∙기구 및 설비의 위험성 기계에는 대단히 많은 종류가 있으며 또한 계속하여 새로운 기계가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기계들은 각각 기능과 용도가 다르고 모양도 다르지만, 대부분의 기계설비는 원동기, 동력전달 장치, 작업점 및 부속장치로 구성되고 있으며 이들은 원칙적으로 몇 가지 기본 운동 및 동작 형태로 에너지를 전달하여 소정의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기계설비의 위험성을 충분히 분석한 후에 안전 공학적 견지에서 필요한 안전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 위험성 분류 ⑴ 회전동작(Rotating motion) 플라이휠, 풀리, 축등과 같이 회전운동을 하는 부위는 다음과 같은 위험성이 상존한다. ㈎ 접촉 및 말림 ㈏ 고정부와 회전부 사이에의 끼..
제3장 3대 재래형 재해 다발 기인물별 사고 유발요인 및 대책 1. 넘어짐/부딪힘 재해 (2020년 20,659명/7,503명 발생, 전체재해의 19.1%/6.9%) 2. 떨어짐 재해 (2020년 14,406명 발생, 전체재해의 13.3%) 3. 끼임 재해 (2020년 12,894명 발생, 전체재해의 11.9%) 제4장 제조업 및 서비스업 사고 사망재해 5대 유형(출처: 안전보건공단) 1. 제조업 (1) 끼임으로 인한 사고사망은 제조업 전체 사업장의 24% 점유 ㈎ 발생 원인 ❶ 방호장치가 미설치된 기계설비의 작업점 ❷ 기어, 롤러의 말림점 ❸ 벨트, 체인 등 동력전달부와 ❹ 회전체 취급 작업 시 면장갑 착용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또한, ❺ 기계설비의 정비·수리 등의 작업 시 기계를 정지하지 않거나, ..
제1장 3대 다발재해 현황 및 종류 1. 최근 5년간 3대 다발재해 발생 현황 고용노동부는 2020년도 12월말 기준 산업재해율이 전년도 0.58%에 비해 0.01% 포인트 감소한 0.57%로 조사됐다고 발표했다. 전체 재해자 108,379명 중 넘어짐(전도) 재해 20.659명(19.1%), 떨어짐(추락) 재해 14.406명(13.3%), 끼임(협착) 재해 12,894명(11.9%)순으로 47,831명 발생하여 3대 다발재해가 전체 재해의 44.3%를 차지했다. 2. 3대 다발재해 종류 가. 끼임(협착) 재해 기계의 움직이는 부분 사이 또는 움직이는 부분과 고정부분 사이에 신체 또는 신체 일부분이 끼이거나, 물리거나, 말려들어가 발생하는 재해 나. 넘어짐(전도) 재해 사람이 평면 또는 경사면, 층계 등..
④ 각도 - 작업시 팔꿈치의 각도는 90도, 손목이 이루는 각도는 180도(일직선)가 되도록 한다. ․ 작업대의 높이나 작업 대상물의 높이를 조정하면 원하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 좋은 자세가 되도록 사용하는 공구의 형태를 바꾸거나 작업지점을 변화시킨다. ․ 작업관련 설비의 형태를 변경하거나 각도를 변경한다. ㈒ 피로를 덜 받도록 하거나 휴식을 잘 취한다. - 작업전․후 작업 도중에 스트레칭을 실시하여 근육의 긴장을 풀어준다. - 휴식공간을 마련하고 피로를 풀 수 있는 설비를 갖춘다. - 서서 일하는 작업지점에 피로예방매트를 깔아준다. - 물리치료실을 설치하거나 물리치료시설을 활용하는 등 이상 현상을 조기에 해소한다. - 적당한 작업속도를 유지하고 부하가 많이 걸리는 작업은 시간외 근무를 억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