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식품위생교육
- 산업안전교육
- 온라인 위생교육
- 직장내 괴롭힘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실업급여 조건
- 위생교육자료
- KPI
- MZ노조
- 성과평가
- 화재기초상식
- 일반음식점 위생교육
- 전기재해
- 전기재해예방
- 근골격계질환
- 보호구의 정의
- 실업급여
- 노란봉투법
- 요식업 위생교육
- 연차휴가
- 산업안전보건교육
- 권고사직
- 회계의 기초
- 사업자 위생교육
- 연차촉진
- 임금체불
- 위험성평가
- 고용노동부
- 통상임금
- 육아휴직
- Today
- Total
목록3대 다발성 재해 (2)
최팀장의 실무노트

제3장 3대 재래형 재해 다발 기인물별 사고 유발요인 및 대책 1. 넘어짐/부딪힘 재해 (2020년 20,659명/7,503명 발생, 전체재해의 19.1%/6.9%) 2. 떨어짐 재해 (2020년 14,406명 발생, 전체재해의 13.3%) 3. 끼임 재해 (2020년 12,894명 발생, 전체재해의 11.9%) 제4장 제조업 및 서비스업 사고 사망재해 5대 유형(출처: 안전보건공단) 1. 제조업 (1) 끼임으로 인한 사고사망은 제조업 전체 사업장의 24% 점유 ㈎ 발생 원인 ❶ 방호장치가 미설치된 기계설비의 작업점 ❷ 기어, 롤러의 말림점 ❸ 벨트, 체인 등 동력전달부와 ❹ 회전체 취급 작업 시 면장갑 착용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또한, ❺ 기계설비의 정비·수리 등의 작업 시 기계를 정지하지 않거나, ..

제1장 3대 다발재해 현황 및 종류 1. 최근 5년간 3대 다발재해 발생 현황 고용노동부는 2020년도 12월말 기준 산업재해율이 전년도 0.58%에 비해 0.01% 포인트 감소한 0.57%로 조사됐다고 발표했다. 전체 재해자 108,379명 중 넘어짐(전도) 재해 20.659명(19.1%), 떨어짐(추락) 재해 14.406명(13.3%), 끼임(협착) 재해 12,894명(11.9%)순으로 47,831명 발생하여 3대 다발재해가 전체 재해의 44.3%를 차지했다. 2. 3대 다발재해 종류 가. 끼임(협착) 재해 기계의 움직이는 부분 사이 또는 움직이는 부분과 고정부분 사이에 신체 또는 신체 일부분이 끼이거나, 물리거나, 말려들어가 발생하는 재해 나. 넘어짐(전도) 재해 사람이 평면 또는 경사면, 층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