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회계의 기초
- 온라인 위생교육
- 통상임금
- 노란봉투법
- 직장내 괴롭힘
- 보호구의 정의
- 임금체불
- 화재기초상식
- 실업급여 조건
- 요식업 위생교육
- MZ노조
- 성과평가
- 일반음식점 위생교육
- 근골격계질환
- 산업안전교육
- 위험성평가
- 전기재해예방
- 연차촉진
- 권고사직
- 사업자 위생교육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산업안전보건교육
- 위생교육자료
- 식품위생교육
- 육아휴직
- KPI
- 고용노동부
- 연차휴가
- 전기재해
- 실업급여
- Today
- Total
목록안전교육 (3)
최팀장의 실무노트

제1장 3대 다발재해 현황 및 종류 1. 최근 5년간 3대 다발재해 발생 현황 고용노동부는 2020년도 12월말 기준 산업재해율이 전년도 0.58%에 비해 0.01% 포인트 감소한 0.57%로 조사됐다고 발표했다. 전체 재해자 108,379명 중 넘어짐(전도) 재해 20.659명(19.1%), 떨어짐(추락) 재해 14.406명(13.3%), 끼임(협착) 재해 12,894명(11.9%)순으로 47,831명 발생하여 3대 다발재해가 전체 재해의 44.3%를 차지했다. 2. 3대 다발재해 종류 가. 끼임(협착) 재해 기계의 움직이는 부분 사이 또는 움직이는 부분과 고정부분 사이에 신체 또는 신체 일부분이 끼이거나, 물리거나, 말려들어가 발생하는 재해 나. 넘어짐(전도) 재해 사람이 평면 또는 경사면, 층계 등..

나. 소화기 사용법 및 관리요령 ⑴ 소화기 사용법 ⑵ 소화기 설치 및 관리요령 화재발생 시 소화약재가 정상적으로 방사 (5미터,10초/3.3kg기준)될 수 있도록 평상시 유지 및 관리 -유사시에 대비하여 수시로 점검하여, 파손, 부식 등을 확인한다. -화재발생 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방설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평상시 관리 방법 및 사용법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교육 시킨다. -한번 사용한 소화기는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 업체에서 약제 등을 재충약한다. -한달에 한번 거꾸로 뒤집거나 흔들어 준다.(분말소화기) ㈎ 소화기 설치방법 - 각 층별, 대상물별 방호능력 단위 이상으로 설치 - 잘 보이고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곳에 습기나 직사광선을 피해서 설치 - 3.3kg 소형수동식소화기는 보행거리 20..

⑵ 도․소매업 종사자 건강장해 예방 불편한 자세, 과도한 힘, 반복성, 정적자세, 접촉스트레스 등에 의한 근골격계질환 계산원(캐셔) 작업자가 타작업 종사자에 비해 근골격계 통증 호소 율이 4배정도 높음 어깨부위 위주의 스트레칭 및 근력강화운동 병행 필요 ⑶ 의료업 종사자 건강장해 예방 주요 근골격계부담작업은 환자이송, 수술기구소독, 휠체어 태우기 등 환자간호, 물리치료, 병원내 식당, 의무기록 작업으로 파악됨 보건 및 사회복지업종 주요부서별 근골격계질환 발생 분석결과 간호부가 가장 많이 파악 되었으며 원무(전산, 접수 포함)・전산・약국 부서, 진료부, 식당 순으로 나타남 (간호부에 대하여 증상호소자 관리 등 의학적 조치가 시급한 것으로 파악) 근골격계질환자에 대한 신체부위별 분석결과 어깨부위가 가장 많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