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온라인 위생교육
- 권고사직
- 연차촉진
- 식품위생교육
- 요식업 위생교육
- 화재기초상식
- 육아휴직
- 실업급여 조건
- 전기재해예방
- 직장내 괴롭힘
- 보호구의 정의
- 통상임금
- 산업안전보건교육
- 근골격계질환
- 일반음식점 위생교육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회계의 기초
- 사업자 위생교육
- 위생교육자료
- 산업안전교육
- KPI
- 위험성평가
- 임금체불
- 실업급여
- 전기재해
- MZ노조
- 노란봉투법
- 고용노동부
- 연차휴가
- 성과평가
- Today
- Total
목록식대 (2)
최팀장의 실무노트

세법에서는 근로소득에 포함되지 않는 소득(경조금 등), 실비변상적 성질의 급여(숙직료,자기차량운전보조금), 국외근로소득, 생산직근로자 등이 받는 야간근로수당과 함께 식사대(또는 식비)를 비과세 소득으로 지정하여 근로소득세를 부과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소득세법 제12조(비과세소득) 다음 각 호의 소득에 대해서는 소득세를 과세하지 아니한다. 3. 근로소득과 퇴직소득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소득 러. 근로자가 사내급식이나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공받는 식사 기타 음식물 또는 근로자(식사 기타 음식물을 제공받지 아니하는 자에 한정한다)가 받는 월 20만원 이하의 식사대 식사대(식비)를 비과세하는 방법 (매월) 월급여를 지급할 때, 원천징수하는 근로소득세, 4대보험료 계산시 월급여액에서 비과세소..

2023년 1월 1일 이후 받는 근로자 식사대 비과세 한도를 현재 월 10만원 이하에서 월 20만원 이하로 올리는 소득세법이 새해부터 시행된다. ■ 식대(식사대) 비과세란? 식대는 대표적인 비과세 급여에 해당하는데요. 식대 비과세는 회사에서 근로자들의 식사를 별도로 제공하지 않는 경우 식사비 충당을 목적으로 지급된 급여를 식대로 여기고 지급된 금액은 비과세로 인정해 주는 것입니다. 식대 말고도 업무상 차량운행이나 출산보육수당 등도 비과세에 해당됩니다. 물론, 식대 금액에 제한이 없다면 모든 급여를 식대로 지급했다고 하면서 세금을 내지 않는 탈세행위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월 10만원까지만 비과세 인정이 됩니다. 이번 인상안은 이 식대 비과세 월 10만원 제한을 20만원으로 인상하는 것인데요. 식대 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