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온라인 위생교육
- 산업안전보건교육
- 직장내 괴롭힘
- 실업급여 조건
- 회계의 기초
- 연차휴가
- 보호구의 정의
- 육아휴직
- 통상임금
- 위험성평가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임금체불
- KPI
- 사업자 위생교육
- 권고사직
- 전기재해예방
- 실업급여
- 고용노동부
- MZ노조
- 화재기초상식
- 식품위생교육
- 위생교육자료
- 산업안전교육
- 성과평가
- 연차촉진
- 전기재해
- 일반음식점 위생교육
- 요식업 위생교육
- 노란봉투법
- 근골격계질환
- Today
- Total
목록MBO (2)
최팀장의 실무노트

지금까지 우리 조직의 성과의 관리 방식은 성과를 창출하고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성과를 단순히 측정하고 평가하고 보상하는 행동으로 인지되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성과를 만들어내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방식과 다른 방법 새로운 성과 관리 즉, OKR(Objective and Key Results)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OKR은 조직에서 사용되는 것뿐만 아니라 목표를 추구하고 그 목표의 결과 열매를 맺어가는 그런 과정들에 있어서도 매우 요긴한 도구가 될 것입니다. 1. 기존의 성과관리는 왜 실패하는가?OKR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 왜 사람들은 OKR에 관심을 가지는지 그 이유를 하나씩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그래프는 GE라고 하는 회사에서 시행해 왔던 10%룰이라는 이름의 상대..
MBO ( Management By Objective ) : 목표에 의한 관리 MBO란 ? 조직의 상위자와 업무담당자가 협의를 통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기대되는 결과와 관련하여 각자의 주된 책임영역을 규정하며, 정해진 기준에 따라 조직단위들의 활동과 각 구성원의 기여도를 측정, 평가하는 과정 즉, ① 목표 설정 (경영목표 제시 및 구체적 목표 설정 – 전임직원이 참여) ② 실행 ③ 성과관리 ④ 평가 (합의된 평가방식에 의해 평가) ⑤ 목표 달성 정도에 따라 차등 보상 ⑥ 궁극적으로는 경영실적 향상을 유도 하고 이를 통해 회사의 비전 (미래)을 실현 함 MBO는종업원이 미리 상급자와 상의해서 달성할 목표를 정해 놓고 일정기간이 지난 후 계획했던 목표와 달성한 성과를 서로 비교하면서 달 성여부에 대해 평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