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통상임금
- 보호구의 정의
- 산업안전교육
- 산업안전보건교육
- 직장내 괴롭힘
- 임금체불
- 요식업 위생교육
- 육아휴직
- 연차휴가
- 노란봉투법
- 화재기초상식
- 연차촉진
- 실업급여
- 전기재해예방
- 권고사직
- 위험성평가
- KPI
- 고용노동부
- 근골격계질환
- 식품위생교육
- 일반음식점 위생교육
- 성과평가
- MZ노조
- 실업급여 조건
- 사업자 위생교육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전기재해
- 위생교육자료
- 온라인 위생교육
- 회계의 기초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저성과자 분류 (1)
최팀장의 실무노트

저성과자는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 저성과자는 어떻게 식별해야 할까? 이러한 근로자는 다른 근로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경영진과 회사가 저조한 업무성과의 직원을 용인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직원의 사기뿐만 아니라 회사의 수익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독성이 있는" 저성과자를 상대하지 않는 기업은 회사의 문화를 약화시키고 능력있는 직원을 쫓아낼 위험이 있으며, 우리가 흔희 말하든 능력있는 사람은 자기 살길 찾아 좋은 회사로 이직하고 능력없는 직원만 남게 되므로 저성과자를 객관적으로 구분하고 교육시켜야 한다. 저성과의 특징을 살펴보면 "내 일이 아니야" 업무 역량이 높은 직원에게는 이 말을 들을 수 없다. 높은 업무 역량을 가진 직원은 자신이 팀의 일원이라는 것을 인식..
카테고리 없음
2022. 11. 15. 2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