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산업안전교육
- 임금체불
- 권고사직
- 산업안전보건교육
- 요식업 위생교육
- KPI
- 성과평가
- 실업급여 조건
- 전기재해예방
- 일반음식점 위생교육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연차촉진
- 온라인 위생교육
- MZ노조
- 보호구의 정의
- 연차휴가
- 위험성평가
- 회계의 기초
- 통상임금
- 실업급여
- 근골격계질환
- 화재기초상식
- 위생교육자료
- 전기재해
- 고용노동부
- 노란봉투법
- 육아휴직
- 직장내 괴롭힘
- 사업자 위생교육
- 식품위생교육
- Today
- Total
목록근골격계질환 예방 (2)
최팀장의 실무노트

1. 근골격계질환 이해 가.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 정의 근골격계질환이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자세, 무리한 힘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강장해로서 목, 어깨, 허리, 팔․다리의 신경․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기준에 관한 규칙 제656조) 나. 최근 5년간 근골격계질환 발생 현황 ■ 최근 5년간 발생한 업무상 질병자 발생통계를 분석한 결과, 근골격계질환자가 2019년도 부터 9천명으로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근골격계질환 중에서는 중량물 들기 등 허리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생기는 사고성요통 과 신체부담으로 인한 질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안전보건공단> 자료마당> 통합자료실> 국..

④ 각도 - 작업시 팔꿈치의 각도는 90도, 손목이 이루는 각도는 180도(일직선)가 되도록 한다. ․ 작업대의 높이나 작업 대상물의 높이를 조정하면 원하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 좋은 자세가 되도록 사용하는 공구의 형태를 바꾸거나 작업지점을 변화시킨다. ․ 작업관련 설비의 형태를 변경하거나 각도를 변경한다. ㈒ 피로를 덜 받도록 하거나 휴식을 잘 취한다. - 작업전․후 작업 도중에 스트레칭을 실시하여 근육의 긴장을 풀어준다. - 휴식공간을 마련하고 피로를 풀 수 있는 설비를 갖춘다. - 서서 일하는 작업지점에 피로예방매트를 깔아준다. - 물리치료실을 설치하거나 물리치료시설을 활용하는 등 이상 현상을 조기에 해소한다. - 적당한 작업속도를 유지하고 부하가 많이 걸리는 작업은 시간외 근무를 억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