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산업안전교육
- 근골격계질환
- 위험성평가
- 요식업 위생교육
- 실업급여 조건
- MZ노조
- KPI
- 성과평가
- 노란봉투법
- 회계의 기초
- 사업자 위생교육
- 온라인 위생교육
- 고용노동부
- 직장내 괴롭힘
- 일반음식점 위생교육
- 보호구의 정의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화재기초상식
- 전기재해예방
- 육아휴직
- 식품위생교육
- 임금체불
- 통상임금
- 위생교육자료
- 연차촉진
- 실업급여
- 연차휴가
- 전기재해
- 권고사직
- 산업안전보건교육
- Today
- Total
최팀장의 실무노트
산업안전보건 교육자료(23. 5월 정기 안전교육 #2) 본문
제 3장 3대 재래형 재해 다발 기인물별 사고 유발요인 및 대책
1. 넘어짐/부딪힘 재해 (2022년 25,084명/9,283명 발생, 전체재해의 19.2%/7.1%)
2. 떨어짐 재해 (2022년 14,384명 발생, 전체재해의 11.0%)
3. 끼임 재해 (2022년 13,368명 발생, 전체재해의 10.3%)
제4장 제조업 및 서비스업 사고 사망재해 5대 유형(출처: 안전보건공단)
1. 제조업 (1) 끼임으로 인한 사고사망은 제조업 전체 사업장의 24% 점유
㈎ 발생 원인
❶ 방호장치가 미설치된 기계설비의 작업점
❷ 기어, 롤러의 말림점
❸ 벨트, 체인 등 동력전달부와
❹ 회전체 취급 작업 시 면장갑 착용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또한,
❺ 기계설비의 정비·수리 등의 작업 시 기계를 정지하지 않거나, 타 근로자 의 기동 스위치 오조작으로 인해 발생한다.
㈏ 예방 대책
❶ 기계설비의 작업점에는 센서, 덮개 등 방호장치 설치
❷ 기어, 롤러의 말림점에는 방호덮개 설치
❸ 벨트, 체인 등 동력전달부에는 방호덮개 설치
❹ 회전체 취급 작업 시 면장갑 착용금지 및 적절한 작업복 착용
❺ 정비·수리 등의 작업 시에는 반드시 기계를 정지한 후 작업을 실시하고, 조작부에는 잠금장치 및 표지판 설치
(2) 떨어짐으로 인한 사고사망은 제조업 전체 사업장의 17% 점유
㈎ 발생 원인
❶ 사다리의 파손·미끄러짐,
❷ 지붕위에서 보수작업 중 썬라이트 등 약한 부위 파손,
❸ 화물자동차의 적재·포장작업
❹ 대형설비나 제품 위에서의 작업 중 주로 발생한다.
㈏ 예방 대책
❶ 사다리는 파손되지 않은 견고한 것을 사용, 작업자는 안전모를 착용하고, 전도방지 조치를 실시한 후 사용
❷ 지붕 위 작업 시에는 30cm이상의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하부에 안전방망 설치
❸ 트럭 적재함과 높이가 같은 전용 입·출하장에서 작업하고, 작업 시에는 안전모 착용
❹ 대형설비나 제품 위에서의 작업 시 고소작업대 등 전용승강설비 사용, 안전 발판 설치
(3) 화재/폭발․파열/누출으로 인한 사고사망은 제조업 전체 사업장의 13% 점유
㈎ 발생 원인
❶ 화학설비에서 인화성 물질의 누출,
❷ 용접작업 중 불티의 비산,
❸ 인화성 물질이 잔류한 폐드럼 절단,
❹ 환기가 충분하지 않은 탱크 내부 등에서의 화기작업으로 인해 주로 발생한다.
㈏ 예방 대책
❶ 인화성 물질 등을 취급하는 설비, 탱크 등은 누출이 없도록 조치(가스 검지기 등 경보장치 설치)
❷ 용접작업 시 불받이포 등 불티 비산방지 조치 및 소화기 비치
❸ 폐드럼 절단 작업은 잔류 인화성 물질 제거 후 실시
❹ 밀폐공간은 인화성 액체나 증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환기 등의 조치 후 화기 작업 실시
(4) 맞음으로 인한 사고사망은 제조업 전체 사업장의 12% 점유
㈎ 발생 원인
❶ 과도한 높이로 불안정하게 적재된 적재물,
❷ 적절한 포장이 없는 중량물을 지게차로 운반,
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파손 및 달기기구 이탈,
❹ 고속회전체인 숫돌 파손 등으로 인해 주로 발생
㈏ 예방 대책
❶ 중량물 적재 시에는 과도한 높이로 적재금지 및 작업반경내 관계 근로자 외 출입금지 조치 실시
❷ 지게차로 중량물 운반 시는 전용 파레트 등으로 포장하여 운반
❸ 크레인에는 손상된 와이어로프 사용금지, 훅 해지장치 설치, 인양물에 적합한 전용 줄걸이 용구 사용
❹ 고속회전체에 방호덮개 설치 및 보안경 등 보호구 착용
(5) 부딪힘으로 인한 사고사망은 제조업 전체 사업장의 8% 점유
㈎ 발생 원인
❶ 지게차의 운반작업,
❷ 화물 자동차의 운행,
❸ 백호우 붐대의 회전,
❹ 크레인으로 중량물 운반 시에 주로 발생한다.
㈏ 예방 대책
❶ 지게차 운행 시에는 운전자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적재하고, 제한속도를 지정하여 과속하지 않도록 조치
❷ 사업장내 화물자동차 운행 시 유도자를 배치하고, 운전자는 유도자의 신호에 따라 운행
❸ 백호우 붐의 작업반경 내에서는 동시 작업 금지
❹ 크레인으로 중량물 인양시에는 편심이 되지 않도록 수직으로 인양하고, 무선리모콘 사용 등 작업자가 근접하지 않도록 조치
2. 서비스업
(1) 교통사고로 인한 사고사망은 서비스업 전체 사업장의 38% 점유
㈎ 발생 원인 서비스업에서의 도로교통 사망사고는 배달작업의 이륜차사고가 대부분으로
➊ 신호위반 과 과속,
➋ 전방주시 및 확인 미흡,
➌ 운행중 휴대폰 통화, 한손에 배달물을 든 채 운행하는 등 개인의 불안전한 행동,
➍ 헬맷 등 보호장구 미착용으로 발생한다.
㈏ 예방 대책
➊ 과속, 난폭운전, 신호위반 등 불법운전을 하지 않고 교통법규 준수
➋ 운행중 전방의 도로 교통상황과 도로상태 확인에 집중
➌ 운전 중 흡연, 잡담, 휴대폰 통화 등 불필요한 행동은 절대 금지
➍ 운전시 복장을 단정히 하고 반드시 헬멧 등 안전보호 장비를 지급·착용
(2) 떨어짐(추락)로 인한 사고사망은 서비스업 전체 사업장의 18% 점유
㈎ 발생 원인
➊ 사다리의 파손이나 헛디딤에 의해 실족,
➋ 지붕위에서 보수작업 중 썬라이트 등 약한 부위 파손,
➌ 트럭·적재함에서의 적재·포장 작업, 건축물·설비 등 높은 곳에서의 불안전한 작업,
➍ 작업발판 설치 방법 부적절로 인한 넘어짐에 의해 발생 한다.
㈏ 예방 대책
➊ 사다리는 파손되지 않은 견고한 것을 사용, 작업자는 안전모를 착용하고 2인 1조로 작업실시(동료가 붙잡아 주기)
➋ 지붕 위 작업시에는 30cm이상의 작업발판을 설치·사용하고 하부에 안전방망 설치
➌ 트럭 적재함 등 높은곳에서 작업시 안전모·안전화·안전대착용
➍ 작업발판으로 박스, 회전의자등 유동성이 있는 것은 금지하고 고정 작업발판을 사용
(3) 넘어짐(전도)로 인한 사고사망은 서비스업 전체 사업장의 9% 점유
㈎ 발생 원인
➊ 건물바닥 및 통로 왁스 청소 중에 사용되는 미끄러운 작업재료,
➋ 화장실 물청소, 조리실과 같이 물을 많이 사용하는 작업장 바닥 등 미끄러운 바닥,
➌ 통행로의 정리 정돈 미비로 장애물 걸림,
➍ 계단에서 미끄러지거나 헛디녀 넘어지는 재해가 많다.
㈏ 예방 대책
➊ 작업중 미끄럼방지 신발착용 및 작업절차 준수
➋ 작업자 스스로 바닥상태 확인 후 작업 및 물기 즉시 제거
➌ 통행로상의 물품들은 수시 정리·정돈 실시
➍ 계단 디디는 층의 가장자리에 미끄럼방지용 테이프 부착 및 출입시 조명을 확보하고 전방 주시
(4) 부딪힘(충돌)로 인한 사고사망은 서비스업 전체 사업장의 5% 점유
㈎ 발생 원인
➊ 지게차, (화물)자동차 구내 운행 부주의,
➋ 충돌 위험장소에 대한 유도자 미배치 등 안전조치 미흡,
➌ 크레인·호이스트 등 운반설비 이용시 중량물 취급 부주의,
➍ 통행중 설비들과의 충돌 등으로 인해 충돌재해가 많이 발생한다.
㈏ 예방 대책
➊ 지게차 운행시에는 운전자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적재하고, 제한속도를 지정하여 과속하지 않도록 조치
➋ 지게차, 차량 등의 작업장 내 운행경로에는 출입금지 조치 및 유도자를 배치하고, 사각 지대에는 반사경 설치
➌ 크레인 등으로 중량물 인양시에는 편심이 되지 않고 수직으로 인양하고, 가걸이 로프 등이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결속
➍ 불시에 열릴 수 있는 철제물 등과 같은 장소·설비에 필요한 안전조치 실시
(5) 날아와 맞음(낙하․비래)로 인한 사고사망은 서비스업 전체 사업장의 4% 점유
㈎ 발생 원인
➊ 과도한 높이의 불균일하게 적재된 적재물,
➋ 적절한 포장이 없는 중량물을 지게차로 운반,
➌ 크레인의 줄걸이 로프 파손 및 달기기구 이탈,
➍ 고속회전체에서 숫돌, 자재 등의 파손 동으로 인한 부산물의 비래 등에 의해 발생한다.
㈏ 예방 대책
➊ 중량물을 적재시에는 적정한 높이(예 : 2미터 이하)로 적재하고, 인접지역에는 관계 근로자외 출입금지 조치 실시
➋ 지게차로 중량물 운반시는 작업지휘자 배치 및 전용 파레트 등으로 포장하여 운반
➌ 크레인에 손상된 와이어로프 사용금지, 훅 해지장치 설치 및 정상 사용, 인양물에 적합한 전용 줄걸이 용구 사용
➍ 고속회전체 방호덮개 설치 및 보안경 등 보호구 착용, 자재가 파손되지 않도록 취급
제5장 제조업 끼임사고 예방을 위한 카드북 패트롤 2020(출처: 안전보건공단)
■ 안전보건공단 사망사고 속보(2023년 4월)
2023. 4. 3.(월), 11:00경
부산시 사상구 소재 신축 공사현장에서 재해자가 이동식 고소 작업차에 탑승하여 외벽 판넬 부착 작업 중 떨어짐(높이 36m, 사망 1명) 2023. 04. 03.(월), 12:10경 서울시 중랑구 소재 근린생활시설 신축공사 현장에서 외벽과 외부 비계 사이로 자재(합판)를 인양하던 중 합판과 같이 떨어짐(4m) (사망 1명) 2023. 04. 04.(화), 15:25경 충남 천안시 소재 주물제품 제조업 사업장의 제품 상차장에서 대기하고 있던 화물차 운전자가 전진하는 지게차에 깔림 (사망 1명)
2023. 04. 04.(화), 16:17경 전북 익산시 소재 공장 지붕 공사를 위해 이동하던 중 채광창이 깨지면서 바닥으로 떨어짐 (16.3m) (사망 1명) 2023. 4. 6.(목), 09:38경 충청북도 음성군 소재 제조업 사업장에서 재해자(용접공)가 H형강을 눕히기 위해 천장크레인을 조작하던 중, 동료근로자가 조작하던 다른 천장크레인과 부딪혀 H형강이 밀리면서 작업 중인 H형강과 뒤편의 H형강 사이에 끼임 (사망 1명)
2023. 4. 6.(목), 10:45경 서울특별시 금천구 소재 공사현장에서 재해자(타일공)가 벽체 개구부 주변 타일 작업 준비 중개구부로 떨어짐(11m) (사망 1명)
2023. 4. 6.(목), 14:25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소재 공사현장에서 재해자가 나선형 철재 계단 철거를 위해 계단 기둥을 산소절단기로 절단하던 중, 고정되어 있지 않던 계단 기둥이 넘어지며 분리된 계단과 함께 떨어짐(6m) (사망 1명)
2023. 4. 6.(목), 15:20경 경기도 김포시 소재 제조업 사업장에서 재해자가 천장크레인으로 사출성형기의 금형(3톤)을 인양하여 이동시키던 중, 금형에 맞아 사출성형기 내부 발판으로부터 약0.7m 아래로 떨어짐 (사망 1명)
2023. 4. 6.(목), 16:17경 충청남도 예산군 소재 제조업 사업장에서 재해자가 원단의 끊김을 방지하기 위해 물을 뿌리는 작업 중, 롤과 구조물 사이에 끼임 (사망 1명)
2023. 04. 10(월), 09:30경 경기 포천시 소재 합판 제조업 사업장에서 시트지 압착 공정에서 가동 중인 압착기에 걸린 시트지를 조정하던 중 압착기 프레임과 하부 테이블 사이에 끼임 (사망 1명)
2023. 04. 10.(화), 11:04경 경기 고양시 소재 건설폐기물 처리장에서 바닥에 떨어진 작업도구(버킷 보강용 삽날*)를 줍던 중 인접하여 주행 중이던 다른 로더에 깔림 (사망 1명)
2023. 04. 11.(화), 09:00경 경기 고양시 소재 오피스텔 신축공사 현장에서 지하 4층 거푸집 동바리 설치 작업 중 인접 개구부(타워크레인 설치 공간)로 떨어짐(깊이 14m) (사망 1명)
2023. 04. 11(화), 19:23경 충북 괴산군 철근콘크리트제품제조 사업장에서 제품 출하 전 보수 작업 중 뒤에 있던 다른 콘크리트 부재(PC거더)가 넘어져 깔림 (사망 1명)
2023. 4. 13.(목), 12:30경 경상북도 포항시 소재 벌목작업 현장에서 재해자가 고사목* 벌목 후 원목 조재** 작업 중 넘어지는 원목에 깔림 (사망 1명) *고사목 별이나 산불, 노화 등으로 인하여 서 있는 채로 죽은 나무 ** 조재 : 입목을 벌목하여 운반하기 편리하게 가지를 치고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작업
2023. 4. 13.(목), 13:10경 경기도 파주시 소재 신축 공사현장에서 재해자가 계단 석재(돌)부착 작업 중 뒤로 넘어지면서 떨어짐 (사망 1명)
2023. 4. 13.(목), 20:10경 대구광역시 달성군 소재 사업장 내 포장 작업장에서 재해자가 자동포장기 롤 교체작업 중 (설비 정지상태)동료 근로자가 설비를 가동하여 롤과 포장기 프레임 사이에 재해자의 흉부가 끼임 (사망 1명)
2023. 4. 14.(금), 08:00경 경기도 부천시 소재 이사 작업 현장에서 재해자가 건물 내부(5층)에서 방범창 해체 작업 중해체된 방범창과 함께 1층으로 떨어짐 (사망 1명)
2023. 4. 14.(금), 10:54경 경기도 의왕시 소재 음식물 쓰레기 수거 현장에서 재해자가 차량 적재함에 빠진 음식물 쓰레 기통 덮개를 꺼내던 중 차량 적재함의 덮개가 닫히면서 끼임 (사망 1명)
2023. 4. 16.(일), 13:47경 경상북도 경산시 소재 제조업 사업장에서재해자가 방호 울타리를 열고 작동 중인 압연강판 평탄화 설비(텐션 레벨러)에 접근하여 압연 강판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던 중 롤러와 실런더 에 끼임 (사망 1명)
2023. 4. 19.(수), 08:00경 경기도 시흥시 소재 이삿짐 운반 현장에서 재해자(이삿짐 운반원)가 이삿짐 운반 작업을 위해사다리차 운반구에 탑승하여 베란다 창틀을 해체하던 중, 떨어짐(14m) (사망 1명) 2023. 4. 19.(수), 16:40경 경기도 양평군 소재 공사현장에서 재해자(트럭 운전원)가 트럭 적재함에 올라가 철근을 하역 하던 중, 철근다발과 함께 바닥으로 떨어져 쏟아진 철근다발에 상체가 깔림 (사망 1명)
2023. 4. 20.(목), 15:04경 경기도 여주시 소재 공사현장에서 굴착기로 전주를 운반하여 경사로에 내려놓고 방향을 잡아 옮기던 중, 전주가 슬링벨트에서 빠져 경사로를 굴러 내려와 재해자에 부딪힘 (사망 1명)
2023. 4. 20.(목), 16:47경 전남 광양시 소재 물류창고에서 재해자(1)가 화물차 적재함에 실려있던 염화칼륨 포대를 타포 하던 중 염화칼륨이 쏟아지면서 적재함에서 떨어지고,(부상) 화물차에 묻은 염화칼륨을 청소 하던 재해자(2)는 낙하하는 염화칼륨 덩어리(300kg)에 맞음(사망) (사망 1명, 부상 1명)
2023. 4. 21.(금), 07:47경 부산광역시 영도구 소재 공사현장에서 트럭 적재함에 실려 있는 철근의 하역작업을 도와주던 재해자(트럭 운전자)가 철근에 맞아 트럭에서 떨어짐(높이 1.8m) (사망 1명)
2023. 4. 22.(토), 08:48경 전라남도 나주시 소재 곡물 도정업 사업장에서 재해자가 버킷엘리베이이터*의 동작이상을 인지하고 설비를 점검하던 중, 작업통로 단부에서 떨어짐(높이 5m) (사망 1명)
2023. 4. 22.(토), 08:56경 서울특별시 성북구 소재 공사현장에서 재해자(로프공*)가 달비계에 탑승하여 외부 유리 청소 를 하던 중, 달비계 로프(18mm)가 파단되면서 지상 바닥으로 떨어짐(높이 10m) (사망 1명)
2023. 4. 22.(토), 14:42경 경상북도 칠곡군 소재 하수도시설 정비공사현장에서 재해자가 굴착구간에 들어가 실측 작업을 하던 중(깊이 약 1.5m), 굴착사면이 붕괴되어 토사에 매몰 (사망 1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