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요식업 위생교육
- 통상임금
- 산업안전교육
- 직장내 괴롭힘
- 연차휴가
- 권고사직
- 산업안전보건교육
- 실업급여 조건
- 육아휴직
- 성과평가
- 보호구의 정의
- 임금체불
- 일반음식점 위생교육
- 위험성평가
- 화재기초상식
- 노란봉투법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연차촉진
- KPI
- 식품위생교육
- 전기재해
- 전기재해예방
- 근골격계질환
- 위생교육자료
- 온라인 위생교육
- 고용노동부
- 사업자 위생교육
- MZ노조
- 회계의 기초
- 실업급여
Archives
- Today
- Total
최팀장의 실무노트
직급 직책 직위 호칭 교육 본문
반응형
직급,직책,직위,호칭의 용어 이해(1/2)
▪ 과거에는 거의 모든 조직이 직급(職級) – 직위 – 호칭 – 급여(職給) 일체형으로 운영하였으나 현재는 선도기업들이
분리형으로 운영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임
▪ 분리형이 검토되는 이유는 사업 특성 반영, 조직 운영 실무 반영 및 인사 측면의 변화 필요성 등으로 과거의 일체형
운영이 불합리하거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함에 따라 분리형으로 발생
▪ 직급 간소화시 (예: 팀장 – 팀원만 존재 시) 승진을 평생 1회만 승진?, 승진급도 팀장 승진 시 한번?
▪ 직급을 역할등급 개념으로 manager와 employee의 2단계로 운영하여도 ‘자격 승진, 호칭승진,급여 승진, 직책 승진
(선발)’등 다른 승진 방식을 병행 활용할 것인지도 검토해보아야 함(동기부여, 급여 저하의 불이익 변경 방지, 성장 기회 제공 , 장기 근속에 따른 긍정 경험 요소 및 구성원 생산성 여정 등을 고려하여 결정)
직급,직책,직위,호칭의 용어 이해(2/2)
* 주임- 대리 – 과장- 차장- 부장 등의 직위 체계는 일본에서 적용된 직위체계를 수용한 사례이며, 일본 조직 문화 특성이
강한 조직은 과장을 중시함(공무원 조직에서는 ‘과(課)’를 중시하고, 은행권은 대리 (지점장 역할을 대리할 수 있는
자격을 받는 의미의 대리(代理)를 중시하는 등 일본 직급체계 잔재가 널리 활용됨)
*위 글은 인사쟁이 까페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