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팀장의 실무노트

산업안전보건 교육자료(8월 전기재해 예방) -2 본문

산업안전보건

산업안전보건 교육자료(8월 전기재해 예방) -2

andrew80 2020. 8. 5. 00:01
반응형

나. 단락(합선)

⑴ 발생 원인

- 전선의 피복이 외부의 충격으로 벗겨지는 등 절연이 파괴됨

- 이동전선에 중량물의 압력이 가해져 두 가닥의 전선이 합선되어 접촉부분에 전류가 집중적으로 흘러 스파크 발생

- 전선의 피복이 과열에 의해 연소되어 발화

- 전등의 배선 또는 코드, 전등소켓, 콘센트 내의 배선 등의 피복 손상으로 절연이 파괴되어 심선끼리 접촉

- 차단기, 개폐기 및 기타 전기기기가 설치된 곳에 빗물이나 습기의 침입으로 전선간의 절연이 파괴되어 합선

⑵ 예방 대책

- 규격 전선의 사용 및 이동전선의 관리 철저

- 전등소켓, 콘센트 등의 전선 인출부를 보강

- 전기 작업 시 전원스위치 차단 후 실시

- 비닐형코드(VFF)는 옥내배선용으로 사용 금지

-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뺄 때 플러그 몸체를 잡고 뺌

-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가공 및 배관, 모울드 등을 사용하여 시공

다. 기기 발열

⑴ 발생 원인

- 백열전등이나 할로겐전등 등 발열이 많은 전등 외벽에 가연성 먼지 또는 기타 가연물이 접촉하여 출화

- 전기기기의 설치 직후, 오결선에 의한 단락, 지락 또는 과부하에 의한 과열 출화

- 내용연수 경과로 노화, 기기 마모 등으로 전기기기 내부의 절연이 열화되고 과열 출화

- 전기기기 주변의 섬유먼지나 기타 분진 등 으로 인해 전기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 되지 못하여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 주변의 가연성 먼지에 의해 출화

- 전기밥솥이나 커피포트는 기기 내부의 온도조절장치 고장 및 내용물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 시 온도가 상승하여 소손

- 배기휀 주변의 먼지나 기름 찌꺼기 등에 의해 휀의 회전에 장애를 받을 경우 열이 발생

⑵ 예방 대책

- 전기기기 주변에는 가연성 물품 보관 금지

- 백열전구 및 할로겐 전구는 가연성 물질이 없는 곳에 설치

- 전기밥솥이나 커피포트가 내용물이 없이 동작되지 않도록 주의

- 전기기기의 이상 발생시 전원 및 동작을 차단하는 보호장치가 내장된 전기기기 사용

- KS, 형식승인 표시가 없는 전기용품의 사용금지

- 전원의 결상, 역상 및 구동축의 구동으로 인해 오동작 및 소손의 우려가 있는 전동기에는 전자식보호계전기 사용

- 전기기기나 접속기기 주변의 먼지, 기름때 등은 정기적으로 제거

라. 누전

넓은 의미의 누전이란 마치 수돗물이 누수 되듯 전류가 정상적인 경로를 통하지 않고 그 이외의 빠져나가는 현상을 총칭하며 구체적으로는 전선의 피복 또는 전기기기의 절연물이 열화 되거나 기계적인 손상 등으로 인해 전류가 금속체를 통하여 대지로 흘러가는 현상을 말한다. 일단 충전부와 대지사이에 누전 경로가 형성되면 그 누설전류로 인해 열이 발생하여 절연물이 국부적으로 파괴되어 이로 인해 누전 상태는 점점 악화되고 이는 더욱 누설전류를 크게하여 발열량을 누적시킴으로써 결국 점화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⑴ 발생 원인

- 전기배선이나 전기기기 내부회로 절연불량으로 전류가 통전 경로를 통하지 않고 건물이나 주변의 부대설비 등을 통해 흐르는 경우, 접속저항이 큰 부위에 국부적으로 발열

- 카본, 쇳가루 등과 같은 도전성 먼지나 습기가 많은 장소에 전기기기 설치 시 기기 내부의 충전부에 도전성 먼지나 습기가 침입하여 절연성능이 저하되어 누설전류 발생

- 옥내 배선 및 배선기구 절연체의 노화

⑵ 예방 대책

- 누전차단기 설치 및 정기적으로 동작시험

- 정기적 부하회로의 절연저항 측정 및 관리

- 부하의 차단 곤란 시 누설전류를 측정 및 기록 관리하고, 이상 발견 시 신속히 보수

- 전기기기는 습기나 도전성 먼지가 침입하지 않는 장소에 설치

마. 전기 아크

개폐기로 전기회로를 개폐할 때나 퓨즈가 용단될 때에는 아크가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회로를 닫을 때 보다는

끊을 때 교류보다는 직류인 경우에 더욱 심하고 아크도 연속되기 쉽다.

⑴ 발생 원인

- 전자식개폐기나 스위치로 전기회로를 끊거나 닫는 경우 순간적으로 스파크가 발생, 이때 가까이에

가연성 증기나 먼지 등이 있을 경우 인화하여 출화 또는 폭발

⑵ 예방 대책

- 가연성증기나 분진이 존재하여 폭발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방폭형 전기기기 사용

- 가연성 증기나 먼지를 취급하는 장소에 인접한 전기실또는 제어반에는 양압 유지 및 인접한 배관, 덕트 등을 밀폐

- 차단기, 스위치 및 전자개폐기 주변에는 가연성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청소

바. 전기 열화

배선 또는 기구의 절연체는 그 대부분이 유기질로 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유기질은 장시간 경과할 경우 열화되어 절연저항이 저하된다. 특히 유기질 절연체는 공기의 유통이 불량한 곳에서 고온상태로 가열될 경우 탄화 과정을 거쳐 도전성을 띠게 되며 여기에 전압이 걸리게 되면 전류로 인한 발열로 탄화 현상이 더욱 촉진되고 결국 유기질 자체가 타거나 인근 가연물에 착화되는데 이를 절연열화에 의한 탄화현상 이라 한다.

사. 접속부 과열

전선과 전선 전선과 단자 또는 접속편 등의 도체에 있어서 접촉이 불안전한 상태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접촉저항에 의하여 접촉부가 발열하게 되며 이는 점화원으로 작용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국부적 발열부분(접촉부)은 열팽창 및 수축이 반복되면서 전기적으로 아산화동(산화제1철)이 생성되고 이로 인해 발열부는 더욱 거칠어져 접촉저항이 급격히증가하면서 적열상태에 이르게 되어 결국 주위의 절연물을 발화시키게 된다.

⑴ 발생 원인

- 전선 접촉점의 볼트 조임이 풀리거나 접속이 불량할 경우 저항이 생겨 열이 발생, 이열이 주변의 가연성 먼지나 물질에 전달되어 화재 발생

- 콘센트와 플러그를 연결하는 칼받이가 견고히 접속되지 않을 경우 접촉저항에 의한 열이발생

- 차단기와 전선 및 부스의 접속용 볼트가 풀리거나, 견고히 조여지지 않을 경우 접촉 저항에 의한 발열로 과열

⑵ 예방 대책

- 터미널단자는 압착공구를 사용하여 시공하고, 접속부 볼트 풀림 및 발열 유무 정기 점검

- 콘센트, 차단기 등의 접속부 주변에 가연물 방치 금지

- 노화된 배선기구 및 배선은 방치하지 않고 교체

아. 정전기

⑴ 발생 원인

- 물질의 마찰 등에 의해 발생된 정전 스파크가 가연성 가스 및 증기에 인화

▷ 정전기에 의한 화재, 폭발 발생 충족 조건가연성 분진, 가스 및 증기의 농도가 폭발한계 내에 있을 것정전 스파크의 에너지가 가연성 분진, 가스 및 증기의 최소 착화에너지 이상일 것

⑵ 예방 대책

- 제전복 및 제전화 착용하고, 바닥선은 도전성 타일이나 도료로 시공

- 정전기를 일으키는 생산공정이나 운송부에는 제전기 사용

- 상대습도를 높여 정전기 발생 억제

- 유체 이송에 사용되는 탱크로리, 배관 및 배관의 접속부 등은 본딩용 접지 실시

- 위험물 보관 탱크, 드럼통 등에는 질소가스 같은 불활성 가스 주입

- 불활성하기 어려운 탱크, 드럼통 등에 위험물을 주입하는 배관은 관내 유속을 규정치 이하로 낮추어 주입

- 위험물이 주입된 후 규정시간 이상 정차시켜 대전량이 안전 한계치까지 소멸시킴

- 스페너, 드라이버, 망치 등과 같은 수공구는 타격에 의한 불꽃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폭 공구 사용

- 국부환기를 통한 가연성 분진, 가스 및 증기의 농도를 폭발한계 이하로 유지

- 가연성 분진, 가스 및 증기가 존재하는 공간과 정전기 발생 우려 공간 사이를 차폐

8. 사망재해 획기적 감소를 위한 High-Five운동

가. 전기취급작업 사망재해 통계

사업장에서 전기 감전 재해로, 2012년 30명(부상412명), 2013년 37명(부상394명), 2014년 27명(부상330명), 2015년 19명(부상329명), 2016년 26명(부상 351명), 2018년 18명(부상 385명)이 전기 취급 작업 중 감전으로 사망하였다.

-안전보건공단 산업재해통계-

나. 전기 취급작업시 위험포인트 및 안전대책

▣ 위험 포인트

▣ 안전대책

▣ 사업주 및 근로자 준수사항

▣ 전기 취급작업

 

 

반응형
Comments